오늘은 패시브 하우스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합니다.
패시브 하우스, 굉장히 생소하죠?
일단 그 정의부터 살펴볼까요?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는 최소한의 냉난방으로 적절한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설계된 주택입니다.
기밀성과 단열성을 강화하고, 태양광같은 자연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면 난방비용을 일반주택의 1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아직까지 대중화 된 개념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경제성 때문인데요,
냉난방비를 줄이는 건 좋지만, 시공비가 너무 많이 든다는 점 때문이죠.
그럼 이제부터 패시브하우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한번 볼까요?
'패시브 하우스'라는 칭호를 얻기 위해선 몇가지 조건을 만족해야합니다.
하지만 그 조건들이 너어어어무너무 어려워요 ㅠㅠ
예를 들면 냉난방 에너지가 15,000kWh/m2이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쉽게 말해서 일반 단독주택에서는 1m2면적에 난방을 위해선
평균 등유 17리터가 필요하다면,
패시브하우스는 1.5리터로도 난방이 가능해야합니다!
어떻게 이런일이...?
핵심은 태양광, 단열재, 유리창, 그리고 순환 시스템입니다.
①태양광
태양광은 패시브하우스가 아니더라도 대중화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죠?
태양광은 친환경적이기에 굉장히 주목 받고 있는 에너지원입니다.
환경문제도 심해지고 있고, 기존에 석유 에너지원에 대한 문제점들이 발견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는데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태양광발전입니다.
사실 햇빛을 받고 전기를 만들어낸다는 건 엄청나게 큰 이득이죠?
하지만 초기 투자비용 때문에 실용화를 이루진 못하고 있습니다.
효율이 약 15~18%여서 현재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경제적으로 부합하게 만드는데 개발을 다하고 있다고 하죠!
여기서 잠깐!
⁉
여러분 태양'광'과 태양'열'의 차이를 아시나요?
태양광은 위에서 설명했던 것이고,
태양'열'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여 온수를 만드는 것이죠!
위와 같은 형태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만드는 시스템입니다!
이 또한 패시브하우스에서 시너지를 발휘하는 시스템이죠!
②창호
패시브 하우스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 중 하나는 바로 '기밀성' 입니다.
아무리 단열을 잘해놓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한들, 외부의 차가운 바람이
내부로 들어오면 모두 무용지물이겠지요?
기밀성이란, 사방이 꽉막혀 공기가 통하지 못하는 정도를 뜻합니다.
그래서 패시브하우스에선 조금 특별한 창호(창문)을 사용하여줍니다!
왼쪽이 일반 창호이고, 오른쪽이 패시브하우스의 창호입니다.
조금 더 자세한 그림으로 볼까요?
위쪽의 그림과 같이 온도가 변하는 구간을 더 넓게 하고,
창문을 3중창으로 하며,
공기의 유입을 공학적으로 막아
단열성을 최대화 시킨 창호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기밀성은 곧 차음성능과도 직결됩니다.
소리가 공기를 통해 전달 된다는 것 아시나요?
공기가 잘 전달되지 못하는 높은 기밀성은
곧 높은 차음성능이 됩니다.
③단열재
여기서는 단열재의 간단한 종류들과 그 특성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비드법 단열재
비드법? 굉장히 생소한 단어이지만
사실 '스티로폼'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사실 스티로폼은 상호명이고, 비드법 단열재가 정식 명칭인데요,
비드법 단열재의 장점은 절단 등 가공이 쉬워서
시공방법에 따른 단열 성능의 오차가 적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흡수성이 높아서
비드법 단열재가 물을 먹게 되면 단열성이 급격하게 낮아지게 되죠.
2.압출법 단열재
압출법 단열재의 경우는 통상 비드법 단열재보다 단열성도 우수하고,
비드법 단열재의 단점인 흡수성 또한 압출법 단열재의 경우는 낮습니다.
그렇다면 압출법 단열재가 무조건 좋은게 아닌가?
하실 수 있겠지만!
압출법 단열재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열성이 저하가 되곤 하죠!
또한 고온에서 발포가 생긴다는 사실!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3.열반사 단열재
열이 이동하는 3가지 방법이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그 세가지는 복사, 전도, 대류 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요,
어려운 개념이니 쉽게 설명하자면,
따뜻한 난로가 있는 곳보다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이 더 따뜻할 때가 있죠?
이 때 사람들로부터 오는 온기가 복사의 종류입니다.
열반사 단열재는 이러한 복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꼭 알아야 할 정보중에 하나는 시공시 주의점인데요!
외벽재와 열반사 단열재와의 거리를 두어야만 복사에너지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두세요!!
4.그라스울
그라스울은 영어로 하면 Glass wool로
그대로 해석을 하면 유리섬유입니다.
폐유리를 고온에 녹인 후 섬유처럼 뽑아내어 만든 단열재인데요,
한 때 만지면 따가워서 인체에 유해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지만
무해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그라스울을 선택하시려는 건축주분들께 당부한마디!
그라스울을 고르실때는 밀도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밀도에 따라 단열성이 좌우되기 때문이고, 시공 시 수증기를 잡아주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④열회수형 환기장치
패시브 하우스의 심장이라고 불리우는 열회수형 환기장치입니다.
위에서 '기밀성'을 보았죠?
주택이 기밀해짐에 따라 단열성도 높아지고 습도 또한 조절이 가능해졌지만
그만큼 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기계를 이용해 환기를 시켜주는 것인데,
이 때에 위의 그림과 같은 원리로 내부의 열을 지켜내면서 환기를 해주는 것이죠!
주택에서 환기로 인해 소모되는 에너지가 약 20%라고 합니다.
따라서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패시브하우스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심장과 같은 부분이죠!
위쪽의 그림이 보이시나요?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갈수록 온도가 더 높아지는 것입니다.
오른쪽의 건물이 패시브하우스이고요,
왼쪽의 나무 뒤에 건물이 일반 주택입니다.
건물 대부분이 파란색의 창문만 그보다 높은 초록색입니다.
뒤 주택의 빨간색이 많은 것과는 비교되죠?
그만큼 패시브하우스는 높은 단열성으로
벽체와 창호 등 외기와 맞닿는 면에서
빼앗길 수있는 에너지를 보존합니다.
그래서 여름철 냉방비와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하며
장기적으로는 추가로 투자한 시공비 이상의 효율을 가져옵니다.
아직은 시공비 상승이 눈에 보일 정도로 크다 보니 선택하는데 망설임이 생기지만,
팀버하우스와 같은 다양한 기업에서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설계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그 지속성과 환경친화적인 성격때문에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것 같습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
이상 팀버하우스였습니다.
오늘은 패시브 하우스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합니다.
패시브 하우스, 굉장히 생소하죠?
일단 그 정의부터 살펴볼까요?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는 최소한의 냉난방으로 적절한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설계된 주택입니다.
기밀성과 단열성을 강화하고, 태양광같은 자연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면 난방비용을 일반주택의 1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사실 아직까지 대중화 된 개념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경제성 때문인데요,
냉난방비를 줄이는 건 좋지만, 시공비가 너무 많이 든다는 점 때문이죠.
그럼 이제부터 패시브하우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한번 볼까요?
'패시브 하우스'라는 칭호를 얻기 위해선 몇가지 조건을 만족해야합니다.
하지만 그 조건들이 너어어어무너무 어려워요 ㅠㅠ
예를 들면 냉난방 에너지가 15,000kWh/m2이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쉽게 말해서 일반 단독주택에서는 1m2면적에 난방을 위해선
평균 등유 17리터가 필요하다면,
패시브하우스는 1.5리터로도 난방이 가능해야합니다!
어떻게 이런일이...?
핵심은 태양광, 단열재, 유리창, 그리고 순환 시스템입니다.
①태양광
태양광은 패시브하우스가 아니더라도 대중화되어 사용되어 지고 있죠?
태양광은 친환경적이기에 굉장히 주목 받고 있는 에너지원입니다.
환경문제도 심해지고 있고, 기존에 석유 에너지원에 대한 문제점들이 발견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는데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태양광발전입니다.
사실 햇빛을 받고 전기를 만들어낸다는 건 엄청나게 큰 이득이죠?
하지만 초기 투자비용 때문에 실용화를 이루진 못하고 있습니다.
효율이 약 15~18%여서 현재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경제적으로 부합하게 만드는데 개발을 다하고 있다고 하죠!
여기서 잠깐!
⁉
여러분 태양'광'과 태양'열'의 차이를 아시나요?
태양광은 위에서 설명했던 것이고,
태양'열'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의 온도를 높여 온수를 만드는 것이죠!
위와 같은 형태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만드는 시스템입니다!
이 또한 패시브하우스에서 시너지를 발휘하는 시스템이죠!
②창호
패시브 하우스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 중 하나는 바로 '기밀성' 입니다.
아무리 단열을 잘해놓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한들, 외부의 차가운 바람이
내부로 들어오면 모두 무용지물이겠지요?
기밀성이란, 사방이 꽉막혀 공기가 통하지 못하는 정도를 뜻합니다.
그래서 패시브하우스에선 조금 특별한 창호(창문)을 사용하여줍니다!
왼쪽이 일반 창호이고, 오른쪽이 패시브하우스의 창호입니다.
조금 더 자세한 그림으로 볼까요?
위쪽의 그림과 같이 온도가 변하는 구간을 더 넓게 하고,
창문을 3중창으로 하며,
공기의 유입을 공학적으로 막아
단열성을 최대화 시킨 창호입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기밀성은 곧 차음성능과도 직결됩니다.
소리가 공기를 통해 전달 된다는 것 아시나요?
공기가 잘 전달되지 못하는 높은 기밀성은
곧 높은 차음성능이 됩니다.
③단열재
여기서는 단열재의 간단한 종류들과 그 특성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비드법 단열재
비드법? 굉장히 생소한 단어이지만
사실 '스티로폼'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사실 스티로폼은 상호명이고, 비드법 단열재가 정식 명칭인데요,
비드법 단열재의 장점은 절단 등 가공이 쉬워서
시공방법에 따른 단열 성능의 오차가 적습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흡수성이 높아서
비드법 단열재가 물을 먹게 되면 단열성이 급격하게 낮아지게 되죠.
2.압출법 단열재
압출법 단열재의 경우는 통상 비드법 단열재보다 단열성도 우수하고,
비드법 단열재의 단점인 흡수성 또한 압출법 단열재의 경우는 낮습니다.
그렇다면 압출법 단열재가 무조건 좋은게 아닌가?
하실 수 있겠지만!
압출법 단열재의 경우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열성이 저하가 되곤 하죠!
또한 고온에서 발포가 생긴다는 사실!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3.열반사 단열재
열이 이동하는 3가지 방법이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그 세가지는 복사, 전도, 대류 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요,
어려운 개념이니 쉽게 설명하자면,
따뜻한 난로가 있는 곳보다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는 곳이 더 따뜻할 때가 있죠?
이 때 사람들로부터 오는 온기가 복사의 종류입니다.
열반사 단열재는 이러한 복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꼭 알아야 할 정보중에 하나는 시공시 주의점인데요!
외벽재와 열반사 단열재와의 거리를 두어야만 복사에너지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두세요!!
4.그라스울
그라스울은 영어로 하면 Glass wool로
그대로 해석을 하면 유리섬유입니다.
폐유리를 고온에 녹인 후 섬유처럼 뽑아내어 만든 단열재인데요,
한 때 만지면 따가워서 인체에 유해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지만
무해하다고 판단되었습니다.
그라스울을 선택하시려는 건축주분들께 당부한마디!
그라스울을 고르실때는 밀도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밀도에 따라 단열성이 좌우되기 때문이고, 시공 시 수증기를 잡아주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④열회수형 환기장치
패시브 하우스의 심장이라고 불리우는 열회수형 환기장치입니다.
위에서 '기밀성'을 보았죠?
주택이 기밀해짐에 따라 단열성도 높아지고 습도 또한 조절이 가능해졌지만
그만큼 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래서 인위적으로 기계를 이용해 환기를 시켜주는 것인데,
이 때에 위의 그림과 같은 원리로 내부의 열을 지켜내면서 환기를 해주는 것이죠!
주택에서 환기로 인해 소모되는 에너지가 약 20%라고 합니다.
따라서 열회수형 환기장치는 패시브하우스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심장과 같은 부분이죠!
위쪽의 그림이 보이시나요?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갈수록 온도가 더 높아지는 것입니다.
오른쪽의 건물이 패시브하우스이고요,
왼쪽의 나무 뒤에 건물이 일반 주택입니다.
건물 대부분이 파란색의 창문만 그보다 높은 초록색입니다.
뒤 주택의 빨간색이 많은 것과는 비교되죠?
그만큼 패시브하우스는 높은 단열성으로
벽체와 창호 등 외기와 맞닿는 면에서
빼앗길 수있는 에너지를 보존합니다.
그래서 여름철 냉방비와 겨울철 난방비를 절약하며
장기적으로는 추가로 투자한 시공비 이상의 효율을 가져옵니다.
아직은 시공비 상승이 눈에 보일 정도로 크다 보니 선택하는데 망설임이 생기지만,
팀버하우스와 같은 다양한 기업에서 보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설계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그 지속성과 환경친화적인 성격때문에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것 같습니다.
더 궁금한 것이 있다면 언제든 질문해주세요!
이상 팀버하우스였습니다.